사망 후 체온 하강과 영향 인자

체온 하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사망 당시 체온 (두부 뇌간부 손상, 일사병, 열사병, 패혈증, 동사 등)
  • 체적: 체중과 키 (비만, 부종, 탈수, 어린이, 노인 등)
  • 자세 (움추린 자세, 반듯이 누운 자세 등)
  • 옷이나 이불 등의 유무 (얇고 두터운 옷 등)
  • 주변 온도 (열대 한대 지방, 냉난방 유무, 화재, 전기 담요, 욕조, 바다 혹은 강물 등)
  • 풍속 및 습도 (바람이 많이 불고 있을 때 등)
  • 물 속 혹은 다른 액체 속 (차가운 바닷물속에서는 수분 내에 저체온 사망)
  • 출혈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체온 하강이 빨라지게 하는 요소들
  • 주위 온도(기온, 수온)가 낮다 > 높다
  • 피부가 습하다 > 건조하다
  • 통풍이 좋다 > 바람이 불지 않는다
  • 착의가 얇다 > 두꺼운 옷
  • 마른 사람 > 뚱뚱한 사람
  • 흐르는 물 > 고인 물
  • 어린이 혹은 노인 > 일반 어른
  • 남자 > 여자

헨스게 노모그램의 보정 계수 (각각의 상황에서 체중에 보정 계수를 곱하여 얻어진 보정체중을 이용하여 도표를 읽는다.)
  • 흐르는 물 : 0.35
  • 고인 물: 0.5
  • 바람이 있을 때
    1) 젖은 상태로 벗고 있거나 젖은 얇은 옷을 입고 있으면: 0.7
    2) 마른 상태로 벗고 있을 경우: 0.75
    3) 마른 얇은 옷이나 젖은 두꺼운 옷을 입고 있으면: 0.9
  • 바람이 불지 않을 때
    1) 벗고 있으면: 1.0
    2) 마른 얇은 옷이나 젖은 두꺼운 옷을 입고 있으면: 1.1
    3) 젖은 두꺼운 옷을 두겹이상 입고 있으면: 1.2
  • 바람이 부는 것과 관계없이
    1) 마른 얇은 옷을 두세겹 혹은 마른 두꺼운 옷을 한두겹 입고 있으면: 1.2
    2) 마른 얇은 옷을 서너겹 입고 있으면: 1.3
    3) 마른 얇은 옷이나 두꺼운 옷을 더 많이 입고 있으면: 1.4
    4) 두꺼운 이불 만 덥고 있으면: 1.8
    5) 두꺼운 이불에 옷도 입고 있으면: 2.4





처음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