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시제도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보시려면 여기를!!
한국의 법의학자는 사건 현장에 가지 않는다?
[검찰] 서울.부산 지검에 검시의 첫 배치 1999.5.
김 순경 사건
(판결문, 수사상 문제점, 법의학 문제) 1994.3.
우리나라의 검시제도(법의학자 이윤성 교수)
검시제도는 통합적이어야!
영국 데릭 파운더 교수(법의학자)의 방한 강연
2000.12.07
우리나라 현장 검시의 개선점
2000.10.
한국의 검시제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 몇가지?
1996
우리나라의 검시 현실 (신속성, 전문성, 통합성, 독립성 여부에 대하여)
우리나라 검시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법률가에 의한 개선 방향 제안) 1996
현장 검시에 참여할 의사들이 부족한가?
한국의 법의학자들과 법의 부검
한국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법의관과 미국 법의관(Medical Examiner)의 차이
간신히 명맥 잇는 3D업종 법의학자들… 잘못하면 ‘과학 살인자’될 수도 1999.1.14
침묵의 진실’추적하는 국과수(국립과학수사연구소)
독재 그늘에 가려진 한국의 의문사들 2001.3.
다른 나라의 검시제도
[ 방명록 ]
[English Chat-Box]
검시 제도에 대한 자료
영어로 보는 세계 뉴스 (Coroner, Medical examiner, Forensic medicine, etc.)